본문 바로가기
SMALL

투자 및 자산 늘리기/부동산93

thumbnail6 주택청약 당첨 후 포기 시 불이익은 무엇일까? 최근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인해 주택청약의 인기가 예전에 비해서는 많이 시들하지만, 여전히 실수요자분들 입장에서는 좋은 입지에 분양하는 주택을 청약을 통해 마련하고 싶은 마음도 클 것입니다. 하지만 3고 현상(고물가, 고금리, 고환율)으로 분양가가 치솟은 데다, 자금마련 계획을 잘 세우지 않으신 분들이 무턱대고 주택청약을 신청했다가 당첨을 포기하는 사례도 종종 생기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주택청약 당첨 후 포기하면 발생하는 불이익은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청약통장 소멸 청약통장을 사용하여 한번 당첨되면, 해당 주택을 계약하든, 계약을 포기하든 관계없이 사용한 청약통장은 소멸하게 됩니다. 청약통장이야 또 만들면 되지 뭐가 문제냐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청약통장은 그 가입기간에 따라 .. 2024. 4. 24.
thumbnail6 2024년 청약홈 개편에 따라 변경된 청약제도 총 정리 2023년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으로 감소함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출산 가구 지원을 위한 변경된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및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을 2024년 3월 25일부터 본격 시행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4년 청약홈 변경과 더불어 개편된 청약제도는 혼인으로 인한 주택청약 불이익을 해소하는데 중점을 두었는데요, 아래에서는 2024년 변경된 청약제도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생아 특별공급(공공) (대상) 2년 이내 출생 자녀(임신, 입양 포함)가 있는 가구 (물량) 나눔형 35%, 선택형 30%, 일반형 20% (공급) 우선공급(70%) → 잔여공급(20%) → 추첨제(10%) 2024년 신생아 특공 조건 및 신청방법 총정리 정부는 2024년 내 집 마련을 준.. 2024. 4. 10.
thumbnail6 전자수입인지 의미와 구매방법 발급방법 총 정리 부동산을 구매할 계획이신 분들은 전자수입인지에 대하여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그 의미와 발급 방법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으실 텐데요, 아래에서는 전자 수입인지의 의미와 구매방법, 발급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지세란 무엇인가? 인지세는 재산상 권리가 변동되면 그 변동 및 승인이 표시되어 있는 증서를 대상으로 작성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분양권매매나 전매, 중도금대출, 등기 발급 시 주로 사용됩니다. 2. 전자수입인지란? 위와 같이 인지세는 부동산을 자주 매매하는 분들에게는 매번 수입인지 판매처(은행, 우체국 등)에 방문하여 수입인지를 구매하여 납부해야하는 불편한 세금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는 인터넷을 통해 전자문서 .. 2024. 4. 1.
thumbnail6 공공임대주택의 뜻과 종류, 입주 조건, 신청 방법 총 정리 공공임대주택이란 무주택자나 사회 취약계층 등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국가나 지자체에서 주변 시세보다 월등히 저렴하게 공급하는 주택을 의미합니다. 주거비 절감 혜택이 크다 보니 아직 목돈이 없는 20, 30대 청년층의 경우 누구나 입주자격이 되면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고 싶어 하는데요, 아래에서는 만 19세 ~ 만 39세 이하의 청년층이 살펴보면 좋은 공공임대주택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종류별 입주조건과 신청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LH청년전세임대 국가기관인 LH가 임대인과 주택을 전세계약하고 청년층에게 재임대하는 방식의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입주가능 나이조건은 만 19세 ~ 39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이며, 결혼을 하는 경우에는 입주자격이 제한됩니다. 1) 혜택 임대보증금 200만원 .. 2024. 3. 29.
thumbnail6 재산세 납부기간 부과기준 조회 및 납부 방법 총 정리(최신버전) 2024년 3월 19일 윤석열 대통령은 2020년 문재인 정권이 도입했던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철회하였습니다.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이란, 주택의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매년 단계적으로 높여 최장 2035년까지 시세대비 90%까지 끌어올리는 계획을 의미하는 것으로 계획이 철회됨에 따라 재산세의 부담도 일정 부분 완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재산세란 정확하게 무엇이며 어떤 기준으로 부과되는지 그리고 언제내고 얼마나 내는지는 어떻게 조회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산세란? 재산세란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토지, 주택, 선박 및 항공기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를 말합니다. 2. 재산세 납부기간 재산세는 부과기준일 6월 1일을 기준으로 부과 대상.. 2024. 3. 24.
thumbnail6 부동산 임장의 뜻과 임장을 잘하는 방법(체크리스트) 총 정리 우리가 전세, 월세, 매매 등 부동산 계약을 하려고 할 때가 되면 막상 뭘 먼저 봐야 하고 중요하게 봐야 할지 몰라서 난감했던 경험 있으실겁니다. 특히 부동산중개사분들은 계약이 체결되어야 이익을 보는 이해관계가 있는 분들이기 때문에 그분들의 말을 무조건 믿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결국에는 내가 직접 보고 판단하는 게 가장 정확하겠죠. 아래에서는 이러한 분들을 위해 임장의 의미와 임장을 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임장이란? 부동산 임장이란 직접 현장에 나가서 관심 있는 매물(집이나 건물, 토지 등)을 실제로 보는 것을 뜻합니다. 특히 매물의 위치가 내가 익숙한 동네가 아니라면 임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집니다. 2. 임장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 1) 자기 자본 파악하.. 2024. 3. 23.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