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투자 및 자산 늘리기/사업5

thumbnail6 첫 아르바이트 시작 전 꼭 알아둬야 할 것들 총 정리! 부모님이 주시는 용돈만으로는 내가 하고 싶고 사고 싶은 걸 다 살 순 없고, 그렇다고 학교에서 시키는 공부 말곤 무언가 해본 경험이 없는 분들이 가장 처음 떠올리는 돈벌이 수단이 바로 아르바이트(part-time)입니다. 10대 청소년분들이나 20대 초반의 대학생들은 주변 친구들도 대부분 아직 일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시작 전 계약서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시급은 얼마를 받아야 적정한지, 사장이 돈을 안 주면 어떻게 하는지 등등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많으실 겁니다. 아래에서는 이런 분들을 위한 첫 아르바이트 시작 전에 꼭 알아둬야 할 몇 가지 꿀팁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아르바이트는 몇살부터 할 수 있을까? 20살이 넘은 성년의 경우라면 상관이 없지만, 10대.. 2023. 11. 4.
thumbnail6 eSIM으로 하나의 스마트폰으로 두 개의 번호를 사용하는 방법 업무용 휴대폰과 개인 휴대폰을 따로 사용하고 싶다는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시죠? 그렇다고 핸드폰을 두대를 사용하자니 통신비가 2배로 들어 부담스럽고, 이런 분들을 위해 eSIM을 이용하여 하나의 휴대폰으로 두 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eSIM의 뜻 일반적으로 우리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리점에가서 휴대폰에 물리적으로 들어가는 유심을 구입하고 개통이 필요합니다. 이와 달리 eSIM은 QR코드 등을 통해 디지털로 설치할 수 있는 카드를 의미합니다. 2. eSIM의 장점 1)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2개의 번호 사용 가능 기존에 이미 사용하고 있는 유심과 디지털로 설치할 수 있는 eSIM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SIM마다 번호를 다르게 발.. 2023. 11. 1.
thumbnail6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의 차이점(등록절차, 비용, 종합소득세, 법인세 등) 회사를 다니다가 더 나이 들기 전에 나의 회사를 차리고 싶은데 사업자등록을 개인으로 내야 할지 아니면 법인으로 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개인기업으로 하자니 대외 신인도가 떨어지고 법인보다 세율이 높다고도 하고, 법인으로 하자니 설립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도 까다로운 것 같고... 아래에서는 개인기업과 법인기업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은 고민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구분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창업절차와 설립비용 설립 절차 간편 설립 비용이 적거나 없음 주주 출자, 대표자 확정, 설립등기 등 절차 필요, 등록면허세 등 설립비용 소요 납부세금의 차이 종합소득세 부과 세율(6% ~ 45%) 사업주 급여는 비용x 자산처분이익 비과세 법인세 부과 세율(.. 2023. 8. 19.
thumbnail6 사업자 종류(유형) 총 정리(개인사업자/법인사업자/과세사업자/면세사업자/일반과세자/간이과세자) 여러분은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의 차이점을 알고 계신가요? 과세사업자와 면세사업자는 어떤가요? 처음 사업을 시작하려는 모든 사업자는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때 사업의 형태, 과세유형, 사업규모에 따라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 과세유형에 따라 과세사업자와 면세사업자, 사업규모에 따라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구분됩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헷갈리는 사업자 유형을 정확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업형태에 따른 구분(개인사업자 / 법인사업자) 1) 개인사업자 개인사업자란 회사를 설립하는데 별도의 상법상 절차가 필요하지 않으며 휴업과 폐업이 비교적 간편한 부가가치세와 소득세 납부의무가 있는 사업자를 의미합니다. 2) 법인사업자 법인사업자란 법인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부가가치세와 법인세 등 납세의무.. 2023. 8. 18.
thumbnail6 사업자등록증 발급,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중 어느 것으로 신청할까? 처음 내 사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는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을 때, 간이과세자로 등록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일반과세자로 등록하는 것이 좋을지입니다. 아래에서는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세금 계산방법, 및 세금계산서 발급 가능 여부 등 차이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일반과세자 사업자등록증 등록 조건은? 아래 2가지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과세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일반과세자는 10%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물건 등을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세금계산서상 부가가치세액 전액을 공제받을 수 있으며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도 있습니다. 연간 매출액이 8,000만 원(부동산임대업 및 과세유흥장소는 4,800만 원) 이상 간이과세자가 배제되는 업종 또는 지역 간이과세 배제업.. 2023. 6. 1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