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내 자산 지키기(예금, 적금, 세금절약,카드)80

아르바이트생, 일용직 근로자도 국민연금 가입 대상일까? 2025년도 최저 시급이 10,03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최저 시급이 최초로 1만 원 대를 돌파하면서 아르바이트 시장에서도 많은 궁금증이 있으실 텐데요, 그중에서 단시간 근로자인 알바생도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할까요?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연금이란?국민연금이란 노령, 장애, 사망 등으로 소득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 국가가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 특별법에 의해 연금이 적용되는 공무원이나 군인, 사립학교 교직원을 제외한 18세 ~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 국민은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서 매월 일정액을 국가에 납부해야 합니다. 2. 아르바이트생도 국민연금에 가입 대상일까?(1) 아르바이트생 국민연금 가입대상 조건알바나 파트타임 근무를 .. 2025. 2. 15.
신용카드 뒷면에 반드시 서명해야 하는 이유, 카드 분실 시 부정사용 보상 안녕하세요 코인노미스트입니다.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면 뒷면에 사용자 서명란이 있습니다. 무심코 지나칠 수 있지만 신용카드 약관이나 설명서 심지어 금융감독원에서 조차 반드시 서명하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신용카드 발급 시 무조건 서명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용카드 서명 반드시 해야할까?신용카드 뒷면에 서명란이 있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만, 번거롭기도 하고 사용하는데 큰 지장이 없기 대문에 서명을 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신용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길거리에 흘리거나 대중교통에 놓고 내리는 등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이때 만약 누군가 내 카드를 습득하여 결제하는 경우 골치 아픈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1) 카드 뒷면.. 2025. 2. 7.
2025년 신설 결혼세액공제 최대 100만원 신청방법 신청서류 총 정리 안녕하세요 코인노미스트입니다. 정부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2024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혼인신고를 한 부부 각 1인에게 50만 원씩 부부합산 최대 100만 원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세법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신혼부부라면 이러한 정책 변화는 그동안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던 결혼페널티, 혼인신고페널티를 완화할 수 있는 좋은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2025년 신설된 결혼세액공제 신청방법 및 신청서류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결혼세액공제란?결혼 후 혼인신고를 한 거주자가 혼인신고를 한 해(생애 1회 한정)에 50만원을 해당 과세기간 종합 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연말정산의 경우 2024년 귀속 연말정산이기 때문에, 2.. 2025. 1. 29.
월세 카드 결제, 중고거래 카드 결제 가능! 납부 방법 및 카드 추천 금융위원회는 올해 상반기부터 신용카드로 월세를 내거나 중고거래 결제도 가능하도록 '개인 간 카드거래 혁신 금융 서비스'를 제도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월세를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게 되면 전월실적도 쌓을 수 있으면서도 카드혜택으로 포인트나 할인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소비자의 혜택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월세 카드 납부 서비스 전체 카드사로 확대정부는 2019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신한카드, 우리카드, 현대카드 3곳에서만 제한적으로 월세 카드납부 서비스를 시행하여 오던 것을 올 상반기 중 전체 카드사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2. 월세 카드 납부 방법월세를 카드로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은 카드사 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인 사항은 다음.. 2025. 1. 25.
내 월급 통장을 지켜주는 카드 값 줄이기 5가지 꿀팁 신용카드는 우리의 소비생활에 여유와 편리함을 주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예상치 못한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매달 불어나는 카드값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나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몇 가지 설정을 통해서 카드값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실생활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카드값 절약 꿀팁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비패턴 점검과 변동비 절감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한 달 동안의 카드이용대금 명세서를 분석해서 매월 정기적으로 납부하는 '고정비'와 매번 변하는 '변동비' 항목을 나누어 필수 지출과 불필요한 지출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매달 내야만 하는 공과금(전기세, 가스비, 관리비), 통신비, 보험료, 대출이자 등은 고정비로 줄이기가 매우 힘들지만 그 외 외식비, 의류비,.. 2025. 1. 23.
자동차세 연납 신청 최대 4.57% 세액공제 받는 법(1월 내 신청 서두르세요) 자동차세를 한 번에 납부하는 경우 최대 4.57%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자동차를 보유하신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동차세 연납'과 세액공제를 최대로 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자동차세 연납의 뜻자동차세 연납이란 자동차를 보유하는 경우 매년 6월과 12월에 나눠서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이 경우 자동차세를 두 번으로 나누지 않고 한 번에 선납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의미합니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1, 3, 6, 9월에 신청할 수 있고 공제세액은 차등 적용됩니다.구분세액공제율(연납 할인율)공제기간1월연세액의 약 4.57%2 ~ 12월3월연세액의 약 3.76%4 ~ 12월6월연세액의 약 2.52%7 ~ 12월9월2기분.. 2025. 1. 2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