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투자 및 자산 늘리기/부동산97 돈 되는 부동산 좋은 투자지역 고르는 방법 4가지 부동산 투자를 좀 해볼까?라고 생각은 했지만 막상 투자하려고 보니 어느 지역에 투자해야 하는지, 선택한 지역이 정말 좋은 투자지역인지 확실하지 않아 막막하시다면 오늘 포스팅을 끝까지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돈 되는 부동산 투자지역 고르는 방법 4가지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발호재가 3가지 이상 겹치는 곳을 찾는다시군구청 홈페이지나 신문, 그 밖에 부동산 정보 사이트를 통해 개발호재가 적어도 3가지 이상 겹치는 지역을 1순위 투자지역으로 알아보는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주변에 지하철 또는 버스터미널, 대형병원 등이 들어오는 등 선호시설의 개발이나 반대로 기존에 있던 교도소, 소각장 등 혐오시설이 이전하는 등의 호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개발호재 체크 리스트(3가지 이상 겹치는 곳 찾기.. 2024. 12. 15. 디딤돌대출 한도 축소 및 방공제 의무 부여 신혼부부, 신생아 대출은? 안녕하세요 코인노미스트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주택시장과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 기금의 지속 가능성 등을 이유로 디딤돌 대출 맞춤형 관리방안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말이 관리방안이지 실제로는 디딤돌대출 한도 축소와 대출 요건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이번 관리방안에 대해 걱정하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2024년 12월부터 시행되는 디딤돌대출 맞춤형 관리방안(디딤돌 대출 축소)에 자세한 변경내용과 주택 구입자들에 대한 영향에 대해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디딤돌 대출 한도 축소 주요 내용 ⓐ 방공제 의무화방공제란, 소액임차인 대상 최우선변제금을 대출금에 포함시켜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최우선변제금이란 서울의 경우 5,500만 원, 경기, 인천 과밀.. 2024. 11. 30. 계약 종료 전 이사하려고 하는데 보증금을 못 주겠다는 집주인 해결방법은? 내가 거주하던 전월세집에서 계약 종료 전에 이사를 하려고 하려고 하는데 집주인이 다음 사람 이사올 때 잔금을 받아서 줘야 하기 때문에 지금을 돌려줄 수 없다고 하는 경우 정말 난감합니다. 정부는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사 시기 불일치 보증금 대출'이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이사 시기 불일치 보증금 대출'에 대해자세히 알아볼 테니,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상황에서 이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은 끝까지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이사 시기 불일치 보증금 대출이란?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보증금 대출 제도로서, 기존 집주인이 이사 시기 불일치로 인해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상황에서 새로운 곳의 임차 주택을 계약한 세입자의 보증금 일부를 대출을 통해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2024. 11. 22. 청약통장 금리, 인정금액, 납입횟수 상향 내집 마련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 최근 몇 년간 금리 인상과 함께 신규 주택 분양가가 계속 오르면서 청약통장 무용론이 돌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작년과 비교하여 약 45만 명 이상이 청약통장을 해지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청약통장을 보유한 국민들의 이탈을 막고자 청약통장 개선사항을 발표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니 혹시 청약통장 해지할까 고민하시는 분들이라면 끝까지 읽어보시면 판단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1. 청약통장 금리 인상지난 9월 국토교통부는 우선 주택 청약통장의 금리를 2.0% ~ 2.8% 수준에서 2.3% ~ 3.1% 수준으로 0.3% 인상하였습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외 은행들의 예적금 금리 대비 청약통장의 금리 수준이 낮.. 2024. 11. 16. 유치권이란 무엇일까?(유치권 뜻, 유치권 행사 조건) 차를 타고 거리를 다니다 보면 건물이나 땅에 강력한 빨간 글씨로 '유치권 행사 중'이라고 쓴 현수막을 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현수막을 예쁘게도 아니고 누군가에게 시위하듯 붙여 놓은 모양새로 대체 유치권이 무엇이고 왜 행사하는 걸까 궁금하셨을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치권의 뜻과 행사 조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유치권이란?유치권이란 간단히 말해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돈을 빌린 채무자의 유가증권이나 물건 등을 담보로 잡고 돈을 받을 때까지 돌려주지 않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유치권에서의 '유치'는 남의 물건을 맡아 두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건물에 '유치권 행사 중'이라는 현수막이 걸렸다는 것은 해당 건물의 소유주가 돈을 빌리고 갚지 않아 돈을 빌려준 채권자(일반.. 2024. 11. 10. 전세 계약 연장할 때 계약서를 다시 써야 할까? 확정일자는? 2년간 전세를 잘 살다가 계약 만기일이 다가오면 임차인은 초조해집니다. 전세 계약을 연장하고 싶은데 처음 연장계약을 해보는 분들이라면 궁금한 점이 많으실 겁니다. 오늘은 전세 계약 연장 시에 계약서를 다시 써야 하는지 그리고 확정일자를 따로 받아야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세계약을 연장 시 계약서를 다시 써야하는지?전세계약을 연장할 때 계약서를 다시 써야 하는지는 전세보증금액이 달라지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만약 기존 계약 시와 연장 시에 보증금액이 동일하다면 계약서를 다시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에 따라 확정일자의 효력도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새로 받을 필요도 없습니다. 하지만, 전세보증금이 달라진다면 계약서를 다시 작성하셔야 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시죠.2. 전세보증.. 2024. 11. 9. 이전 1 2 3 4 5 ··· 17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