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확정일자3 전입신고는 왜 해야할까? 안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 전세사기다 뭐다 요즘 말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나의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 집주인과 임대차거래 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전입신고를 통해 확정일자를 부여받는 것입니다. 아래에서는 전입신고의 의미와 전입신고를 안 할 경우 발생하는 불이익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입신고란?전입신고는 새로운 주소지로 이사한 경우 주소지 변경과 거주자를 등록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주거지로 전입한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관할 주민센터에 신고해야 합니다(의무사항 : 주민등록법 제16조).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입신고는 이사한 당일 바로 하라고 권고하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확정일자 때문입니다. 2. 확정일자확정일자란, 전입신고를 통해 관할관청이 전월세 계약서가 유효함을 인정하는 날을 의미합니다. 확정일자.. 2024. 5. 25. 전세, 월세 계약 끝날 때 반드시 알아둬야 할 필수 상식 4가지! 지난번, 전ㆍ월세 계약 시 반드시 알아둬야 할 확정일자 받는 방법과 전세권설정등기에 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전ㆍ월세 계약이 끝날 때 반드시 알아둬야 할 4가지 상식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고싶은 경우, 집주인에게 언제 말해야 할까? 1) 계약기간이 남아 있는 경우 : 계약기간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이사를 가고 싶은 경우에는 최소한 이사를 하고 싶은 날짜의 2개월 전에는 집주인에게 말해야만 합니다. 그 이유는 집주인에게도 임차인을 구할 시간적인 여유를 줘야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때 새로운 임차인을 구하면서 드는 중개수수료는 집주인이 아닌 계약기간을 다 못 채우고 나가는 기존 임차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2) 계약기간이 끝난 경우 : 계약기간이 끝나서 이사를 가는 경우에도 .. 2023. 5. 4. 확정일자 vs 전세권설정 등기, 무엇이 더 강력할까? 원룸이나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을 월세로 들어갈지, 아니면 전세로 들어갈지를 고민을 끝냈다면 그 이후에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보증금'을 지키는 것일 겁니다. 보증금을 보호받는 데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확정일자 외에도 '전세권설정등기'가 있는데요, 둘의 차이는 무엇이고, 어떤 것이 보증금을 보호하는데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확정일자 확정일자는 전입신고와 동시에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입신고를 하게되면 대항력을 취득할 수 있는데, 대항력이란 새로운 임대인 등 제3자에게 자신의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만일 이러한 대항력이 없다면 새로 바뀐 임대인이 나가라고 하면 꼼짝없이 그에 따라야 합니다. 또한 확정일자를 받으면 우선변제권이 생기는데, 우선변제권이란, 만일 임차한 집.. 2023. 5. 3. 이전 1 다음 LIST